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게임

(4)
유니티 최적화(5) - 프로파일러 사용법 프로파일러란? 프로파일러 툴은 유니티 엔진에서 제공하는 유니티로 개발하는 앱은 프로파일링 할 수 있는,즉 분석을 할 수 있는 Tool이다. 사용하려면 유니티 에디터에서 Window -> Analysis -> Profiler로 켜주면 된다(유니티 2019.4.21f1 버전) Timeline,Hierarchy,Raw Hierarchy 3가지 모드로 분석 할 수 있다. 이번 포스팅에선 Hierarchy로 해보겠다. 위의 Deep Profile을 눌러주면 모든 스크립트가 분석된다. 눌러주고 게임을 실행하면 아래와 같이 매 프레임별로 Performance를 측정해준다. 한 곳을 클릭하면 해당하는 프레임을 분석해준다. 한번 갑자기 Performance가 치솟은 곳을 클릭하면 위와같이 각 퍼센테이지별로 분석 할 수 ..
유니티 모바일 최적화(3) - 용량 큰 파일 찾기 모바일 앱스토어에서는 보통 크기 제한을 두기 때문에 빌드된 앱의 파일 크기를 최대한 줄여주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어떤 게임인지에 따라 어떤 파일이 가장 저장공간을 잡아먹는지는 다 다르다. 그렇기에 방법은 때에 따라 다르지만 빌드된 앱에서 어떤것이 가장 크기를 잡아먹는지 확일할 수 있는법을 포스팅하겠다. 우선은 통상적으로 빌드를 한 번 실행시켜야 한다. 실행시킨 후에는, 콘솔창 맨 오른쪽의 드롭다운을 클릭한 후 Open Editor Log를 클릭한다. 많은 내용의 메모장이 나올텐데 일일이 찾을 필요없이 ctrl + F 해서 Texture를 검색하면 위와 같이 나온다. 어떤 파일이 용량을 많이 잡아먹는지 확인 후 상황에 맞게 조치해 주면 된다!! 출처 : https://docs.unity3d.com/kr/..
유니티 2D싱글톤 패턴 원래는 개발일지를 매일매일 써서 만들어지는 과정을 상세하게 보여주고 싶었는데 귀찮아서 그러진 못했다. 어쨋든 최근에 배운 싱글톤 패턴에 대해 작성해보겠다. 계속해서 개발을 하다보니 public 변수로 선언해서 inspector창에서 드래그앤 드랍으로 계속 참조해줘야되기도 귀찮고 이 오브젝트는 계속해서 참조할거 같은데 어떻게 하면 효율적으로 전역변수처럼 쓸수 있을까?? 하고 고민하다가 찾아낸게 싱글톤 패턴이다. 우선 씬의 GameManager라는 오브젝트와 스크립트를 만든다 그리고 그 GameManager라는 스크립트에 자주 참조되는 오브젝트들을 선언한다 그러면 어느 스크립트에서든 GameManager를 통해서 오브젝트들을 참조할 수 있다. 게임의 시작화면이다. 플레이어도 바뀌고 배경도 바뀌고 많이 바뀌었..
현재점수 최고점수 쿠키런같은 게임에서 매우 필수적인 현재점수 최고점수를 구현해보겠다. 참고로 기본적인 점프, 수그리기 같은 버튼들은 구현이 되어 있다. 우측 상단의 현재 점수 최고점수는 단순히 캔버스에 Text만 추가해주면 된다. 그 후 각각 최고점수 Text에는 SaveScore.cs 를 넣어주고 현재점수 Text에는 LoadText.cs를 넣어준다. 좌측 상단은 임시적으로 만든 저장 버튼이다. 우선적으로 시간이 지나면서 점수가 오르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단순히 score라는 int형에 코루틴을 이용해서 반복문으로 계속 score가 올라가게 구현해주었다. SaveScore.cs의 일부 public int score=0; private void Start() { StartCoroutine("plus"); } IEnume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