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boot (3) 썸네일형 리스트형 쿠키,세션,토큰,JWT 1. 쿠키(Cookie)개념: 쿠키는 웹 서버가 사용자의 웹 브라우저에 저장하는 작은 데이터 파일입니다.용도: 주로 사용자 식별, 세션 관리, 사용자 설정 유지 등에 사용됩니다.특징:클라이언트 측(브라우저)에 저장됨.만료 기간을 설정할 수 있음.HTTP 요청 시 자동으로 서버에 전송됨.저장 위치: 사용자의 웹 브라우저.2. 세션(Session)개념: 세션은 서버 측에서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소입니다.용도: 사용자 로그인 상태 유지, 사용자별 데이터 관리 등에 사용됩니다.특징:서버 측에 저장됨.세션 ID는 클라이언트의 쿠키에 저장됨.서버 메모리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음.저장 위치: 서버의 메모리 또는 데이터베이스.3. 토큰(Token)개념: 토큰은 인증 및 권한 .. @NotNull vs @NotEmpty @PostMapping ("/quiz") //선착순퀴즈 수정 버튼@Operation (summary = "선착순퀴즈 이벤트 수정버튼")public QuizDTO updateQuiz(@Validated @RequestBody QuizDTO quizDTO) { return quizService.updateQuiz(quizDTO);}이런식으로 스프링 @Validated 를 썻는데public class QuizDTO { @NotEmpty private Long id; //기타등등}Swagger 를 이용해 API 테스트를 하니깐 id 값이 분명 비어있지 않음에도 계속 500을 반환하였다 왜일까 검색해보니깐 왜 Long 타입에는 @NotEmpty가 아닌 @NotNull을 사용해야 .. RESTful API 란 무엇인가??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정의 :REST는 웹 서비스가 어떻게 동작해야 하는지에 대한 아키텍처 스타일 또는 설계 원칙입니다. REST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상호작용을 규정하며, 여러 가지 원칙과 제약 조건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REST는 상태를 가지지 않는(stateless) 통신, 캐시 가능한 응답 등을 지향합니다. RESTful API 정의 : RESTful API는 REST 아키텍처 스타일을 따르는 웹 API이다. 즉, REST 원칙을 잘 지키며 설계된 API를 RESTful API 라고 합니다. 비교REST는 이론적인 원칙과 가이드라인 입니다.RESTful API는 그 원칙관 가이드라인을 실제로 적용한 API를 의미합니다.Rest는 일종..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