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121)
운영체제(17) - 파일 할당 ( Allocation of File Data in Disk) 연속 할당 ( Contiguous Allocation) 연속된 블록에 파일을 할당하는 것 장점 Fast I / O, 한번의 seek/rotation으로 많은 바이트 transfer Direct access ( = random access) 가능 단점 외부 단편화 ( external fragmentation) File grow가 어려움, 중간중간 hole이 생김 연결 할당 (Linked Allocation) 연결 할당은 연속 할당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나온 방법으로, 연속적으로 할당하는 것이 아니라 링크드 리스트(linked list)와 같은 방식으로 파일을 할당 장점 : 외부 단편화 발생 안함 = 디스크 낭비가 없다 단점 직접 접근이 안됨 Reliability 문제 : 한 sector가 고장나 poi..
운영체제(16) - 파일과 파일 시스템 (File and File System) File "A named collection of related information" 일반적으로 비휘발성의 보조기억장치에 저장 운영체제는 다양한 저장 장치를 file이라는 동일한 논리적 단위로 볼 수 있게 해줌 Operation Create , read, write, reposition, delete, open, close 등등.... File attribute (혹은 파일의 metadata) 파일 자체의 내용이 아니라 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각종 정보들 파일 이름, 유형, 저장된 위치, 파일 사이즈 접근 권한(읽기/ 쓰기/ 실행), 시간(생성/변경/사용), 소유자 등 File System 운영체제에서 파일을 관리하는 부분 파일 및 파일의 메타데이터, 디렉토리 정보 등을 관리 파일의 저장 방법 결정 파일..
운영체제 (15) - 다양한 Caching 환경 Caching 기법 한정된 빠른 공간( = Cache)에다가 요청된 데이터를 저장해 두었다가 후속 요청서 캐쉬로부터 직접 서비스하는 방식 paging system외에도 Cache memory, buffer caching, Web caching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Caching에서는 시간 제약이 있다. 왜냐하면 더 빠르자고 쓰는 건데 이게 오래걸리면 어불성설이기 때문이다 Buffer caching이나 Web caching의 경우 ... O(1)에서 O( log n )정도까지 허용 Paging system의 경우... Page fault인 경우에만 OS가 관여함 페이지가 이미 메모리에 존재하는 경우 참조시각 등의 정보를 OS가 알 수 없음 O(1)인 LRU의 리스트 조작조차 불가능하 Paging Syst..
운영체제(14) - 가상 메모리 (Virtual Memory) Virtual Memory 운영체제에서 실제 물리 메모리 (RAM)보다 큰 주소 공간을 프로세스에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술 가상 메모리의 주소와 실제 메모리의 주소는 일치하지 않는다 그렇기에 가상 메모리의 주소와 실제 메모리 주소를 1:1 대응 시켜야 하는데 이걸 해결해주는 것이 MMU(Memory Management Unit)이다. Demand paging 실제로 필요할 때 page를 메모리에 올리는 것 I / O 양의 감소 Memory 사용량 감소 빠른 응답 시간 더 많은 사용자 수용 Valid / Invalid bit의 사용 Invalid의 의미 -> 사용되지 않는 주소 영역인 경우, 페이지가 물리적 메모리에 없는 경우 처음에는 모든 page entry가 invalid로 초기화 address t..
운영체제(13) - 프로세스의 메모리 할당 (비연속적 할당 방식) 불연속할당 (noncountiguous allocation) 하나의 프로세스가 메모리의 여러 영역에 분산되어 올라갈 수 있음 Paging기법 주소변환을 위해 Page table이 필요, PMT ( Page Mapping Table) 논리적 주소를 여러공간(Page)로 쪼갠 것 page table은 Main memory에 상주 Page - table base reigster (PTBR)이 page table을 가리킴 모든 메모리 접근 연산에는 2번의 memory access 필요 -> 이런 메모리의 접근을 줄이고자 나온게 TLB 장점 : 논리 메모리는 물리 메모리에 저장될 때 연속되어 저장될 필요가 없고, 물리 메모리의 남는 프레임에 적절히 배치되기 때문에 외부 단편화가 생기지 않는다. 단점 : 내부 단편..
운영체제(12) - 프로세스의 메모리 할당 (연속 할당 방식) 사용자 프로세스 영역의 할당 방법 Contiguous allocation (연속 할당) : 각각의 프로세스가 메모리의 연속적인 공간에 적재되도록 Noncontiguous allocation (비연속적 할당) : 하나의 프로세스가 메모리의 여러 영역에 분산되어 올라갈 수 있음 Contiguous allocation 1. 고정 분할 방식 물리적 메모리를 주어진 개수만큼의 영구적인 분할로 미리 나누어두고 각 분할에 하나의 프로세스를 적재해 실행 시킬 수 있게함, 분할의 크기는 모두 동일하게 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르게 할 수도 있다 융통성이 없음 외부 단편화 : 프로그램의 크기보다 분할의 크기보다 작은경우에는 해당 분할이 비어 있는데도 불구하고 프로그램을 적재하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 내부 단편화 : ..
운영체제(11) - Memory, 주소, 논리적 주소 물리적 주소, 주소 바인딩 Logical address ( = virtual address) 프로세스마다 독립적으로 가지는 주소 공간 각 프로세스마다 0 번지부터 시작 CPU가 보는 주소는 logical address임 Physical address 메모리에 실제 올라가는 위치 주소 바인딩 주소를 결정 하는 것 Symbolic Address - > Logical Address - > Physical address 언제하는가?? Compile time binding : 물리적 메모리 주소가 컴파일 시 알려짐 Load time binding : Loader의 책임 하에 물리적 메모리 주소 부여 Execution time binding ( = Run time binding) 프로그램 실행 중에도 프로세스의 메모리 상 위치를 옮길 수 있..
운영체제 (10) - Deadlock (데드락) Deadlock(데드락) 일련의 프로세스들이 서로가 가진 자원을 기다리며 block된 상태 자원(Resource)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등을 포함하는 개념 예 ) I / O devices, CPU cycle, memory space, semaphore 등 Deadlock 발생 조건 4가지 Mutual Exclusion (상호 배제) 매 순간 하나의 프로세스만이 자원 사용 가능 No preemption (비선점) 프로세스는 자원을 스스로 내어놓을 뿐 강제로 빼앗기지 않음 Hold and wait (보유 대기) 자원을 가진 프로세스가 다른 자원을 기다릴 때 보유 자원을 놓지 않고 계속 가지고 있음 Circular wait ( 순환 대기) 자원을 기다리는 프로세스간에 사이클이 형성되어야 함 위 4가지 조건을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