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2는 특정 AMI를 선택해야지 작동합니다.
역할/기능
- OS선택
- 개인화된 AMI 생성 관리
EC2는 끈다라는 표현을 쓰면 일시정지 또는 완전히 폐기
끈다는 표현은 매우 위험하다
그래서 정확히 표현하면 stop , termination
stop은 restart하면 예전 설정 그대로 간다. termination 후 재시작하면 설정을 처음부터 다시 해줘야 한다.
내가 유지하고 싶은 서버의 상태를 이미지로 구워서 가지고 있는게 AMI
Graceful shutdown : 가급적이면 다운타임을 안 발생시키겠다.
클라이언트가 에러를 보지 않게 shutdown
EC2 인스턴스를 생성하면 저장공간인 EBS가 같이 생성된다 ( 약간 SSD 같은 느낌).
물론 실제 SSD하나에 매핑되는게 아니다. 여러개의 EBS가 EC2에 붙을 수 있다.
EBS (Elastic Block Storage)
컴퓨터 본체를 보면, cpu와 램카드, 그래픽카드, SSD, HDD가 다같이 장착되어 컴퓨터가 돌아가게 된다.
EC2 인스턴스가 연산에 관한 (CPU,메모리 등) 처리를 한다고 하면,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SSD, HDD)은 바로 EBS가 한다고 보면 된다.
즉, EBS는 클라우드에서 사용하는 가상 하드디스크(HDD)라고 말할 수 있다.
EBS는 AWS 클라우드의 Amazone EC2 인스턴스에 사용할 영구 블록 스토리지 볼륨을 제공한다.
그리고 단 몇분 내에 사용량을 많게 또는 적게 확장할 수 있으며, 프로비저닝(빌리는 행위)한 부분에 대해서만 저렴한 비용을 지불 할 수 있다.
https://inpa.tistory.com/entry/AWS-📚-EBS-개념-사용법-💯-정리-EBS-Volume-추가하기
[AWS] 📚 EBS 개념 & 사용법 💯 정리 (EBS Volume 추가하기)
EBS (Elastic Block Storage) 컴퓨터 본체를 보면, cpu와 램카드, 그래픽카드, SSD, HDD가 다같이 장착되어 컴퓨터가 돌아가게 된다. EC2 인스턴스가 연산에 관한 (CPU,메모리 등) 처리를 한다고 하면, 데이터
inpa.tistory.com
EC2 인스턴스를 Stopped 하면 EC2는 없어지지만 EBS는 남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