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자서 이것저것 개발해보면서 깨달은 것들 모음집 !!
1. 템플릿 파일은 꼭! 컨트롤러를 통해야 한다
처음 홈에서 다른 화면으로 넘어갈 때 그냥 <a href = "blahblah"> dfdf </a> 대충 이렇게 같은 폴더안에 다른 html파일을 참조 할 수 있을 줄 알았다. 하지만 이게 웬걸 계속 오류가 나왔다. 구글에 검색하니 나랑 똑같은 질문을 누군가 인프런에 해서 답변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고마워요 인프런~!
2. DTO와 Entity
Entity 클래스는 실제 DB 테이블과 매핑되는 핵심 클래스,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에 존재하는 컬럼들을 필드로 가지는 객체입니다. DB의 테이블과 1:1로 매핑되며, 테이블이 가지지 않는 컬럼은 필드로 가져서는 안 된다!!
Entity는 데이터베이스 영속성(persistent) 목적으로 사용되는 객체이며, 때문에 요청(Request)나 응답(Response) 값을 전달하는 클래스로 사용하는 것은 좋지 않다!! 그렇기에 Setter 메서드의 사용을 지양해야 한다!!
DTO(Data Transfer Object)는 계층간 데이터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객체로 JSON serialization과 같은 직렬화에도 사용되는 객체입니다. Controller 같은 클라이언트 단과 직접 마주하는 계층에서는 Entity 대신 DTO를 사용해서 데이터를 교환하며, Controller 외에도 여러 레이어 사이에서 DTO를 사용할 수 있지만 주로 View와 Controller 사이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활용성이 높습니다. DTO는 getter, setter 메서드를 포함하며, 이 외의 비즈니스 로직은 포함하지 않는다!!
그래서 DTO를 Entity로 변환 후 DB에 저장한다
출처 : https://wildeveloperetrain.tistory.com/101
'Spring boot'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boot 끄적끄적(3) (0) | 2024.07.16 |
---|---|
NoSQL vs SQL (0) | 2024.07.16 |
Spring boot 끄적 끄적(2) (1) | 2024.07.09 |
왜 HTTP Status Code를 사용해야하는가?? (0) | 2024.07.08 |
Spring boot 생성자 주입 vs 필드 주입 (0) | 2024.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