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풀이 (12) 썸네일형 리스트형 백준 11003번(JAVA) 문제가 많이 더럽다. 로직이나 알고리즘을 요구한다기보단 어떻게든 시간을 줄여야한다. 빠른 입출력을 요구하고 덱을 활용하는데 add가 아닌 offer를 쓰고 poll이아닌 remove를 쓰고 peek이 아닌 get을 쓰고 문제 자체는 어렵지 않다. 뭐 슬라이딩 윈도우라는 이름이 있다는데 그런거 잘 몰라도 충분히 풀 수 있다. 필자는 솔직히 이 로직 하나만 봤을때 이게 플레 5문제인가 싶다. 우선 덱을 활용하는 문제인데 앞에서 뒤로 갈때 오름차순이다. 출력할땐 당연히 맨 앞의 숫자를 출력하면 된다. 이 때 맨 앞의 숫자가 주어진 범위를 벗어났으면 맨 앞의 숫자를 삭제해준다. 입력을 받을 땐 while문을 써서 맨 뒤에 숫자가(q.getLast()) 입력할 숫자보다 작을 때 까지 계속 q.removeLast(.. 백준 17472번(JAVA) 이번에 푼 문제는 크게 3가지 단계를 걸치면 된다. 1.섬별로 번호 붙이기 2.섬간의 다리(간선)정보 넣기 3. 2번을 통해 나온 섬간의 간선정보를 바탕으로 프림알고리즘을 수행하여 최소스패닝트리, 즉 각 섬을 모두 연결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비용을 구한다. 섬별로 번호를 붙이는건 어렵지 않다. 0이아닌 땅을 밟으면 BFS를 실행해주어 연결된 모든 1을 한 섬으로 지정한다 이 때 변수 islans_cnt변수가 BFS를 실행할때마다 +되어서 번호를 붙여준다. 그 후 섬간의 다리 정보를 입력받는데 꽤나 까다로운 조건이 붙어있다. 그렇기에 그점에 잘 유의해서 if문을 작성해준다 필자는 오른쪽,왼쪽,아래쪽,위쪽 4개의 for문을 사용했는데 이걸 한 개의 for문으로 줄일 수 있으면 좋겠다. 마지막으로 프림알고리즘.. 백준 10159번(JAVA) 플로이드-와샬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문제이다. 플로이드-와샬 알고리즘은 최단거리를 찾는 문제에서 가장 간단하다. 3중for문, 이것만 기억하면 된다. 3중for문이니까 당연히 시간복잡도는 O(v^3)이다. 그래서 보통 플로이드-와샬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문제들은 정점의 수가 1000을 넘지 않는 것 같다. 플로이드-와샬 알고리즘에 대한 기본적인 설명은 따로 하지 않겠다. 이 문제에서는 일단 입력을 받을때 1 2 이렇게 받으면 map[1][2]=1, map[2][1]=2 이렇게 했다. 1의 값은 앞에인덱스가 뒤에 인덱스보다 무겁다는 뜻, 2의 값은 앞에 인덱스가 뒤의 인덱스보다 보다 가볍다는뜻이다. 플로이드-와샬 알고리즘을 사용할때 기준점이 되는 k인덱스를 기준으로 map[i][k]==1&&map[k][j]=.. 백준 14442번(JAVA) 벽 부수고 이동하기2 문제이다. 벽 부수고 이동하기1문제랑 매우 유사하기 때문에 같이보면 좋을듯 하다. www.acmicpc.net/problem/2206 2206번: 벽 부수고 이동하기 N×M의 행렬로 표현되는 맵이 있다. 맵에서 0은 이동할 수 있는 곳을 나타내고, 1은 이동할 수 없는 벽이 있는 곳을 나타낸다. 당신은 (1, 1)에서 (N, M)의 위치까지 이동하려 하는데, 이때 최단 경로 www.acmicpc.net 문제풀이는 간단하다. 객체를 생성할줄만 알면 문제는 매우 쉬워진다. 객체에는 좌표를 나타내는 x,y 그리고 몇칸째이동중인지를 나타내는 count 마지막으로 벽을 몇개를 부쉈는지를 나타내는 crash변수를 만들어낸다. 또한 BFS에서 필수인 방문체크 배열은 visited[i][j][k].. 백준 17404번(JAVA) 골드이상의 DP문제는 3차원으로 DP배열을 구현해서 문제푸는것이 수월하다. 이 문제는 기존 RGB거리 문제에 조건을 하나 더 추가한것으로 2번째 인덱스에 첫번쨰집의 색깔을 지정해놓고 풀면된다. 기존 RGB문제와 3차원배열을 활용한 DP문제링크를 걸어둘테니 참고하면 이 문제를 푸는데 매우 도움이 될듯하다. www.acmicpc.net/problem/1149 1149번: RGB거리 첫째 줄에 집의 수 N(2 ≤ N ≤ 1,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각 집을 빨강, 초록, 파랑으로 칠하는 비용이 1번 집부터 한 줄에 하나씩 주어진다. 집을 칠하는 비용은 1,000보다 작거나 www.acmicpc.net 2021.05.08 - [백준 문제풀이(JAVA)/DP(다이나믹프로그래밍)] - 백준 .. 백준 1563번(JAVA) 3차원 DP로 해결하는 문제이다 골드 4이상부터는 대부분 3차원DP로 풀어야 하는 것 같다. int[][][][ dp=new int[N][2][3];으로 선언해주고 [][][]에서 첫번째는 날짜를 2번째는 지각을 한 상태이면 1, 아니면0, 마지막인덱스는 연속결석날짜를 의미한다. dp[4][1][2]는 4번째날 지각을 한상태에서 2번연속 결석을한 경우의수를 의미한다. 일단 만약 날짜가 1일이면 지각,결석,출석 한가지씩이어서 3을 출력하고 시스템종료 그다음 2틀째날에는 총 8가지 경우의수가 있다. 각각 맞게 설정해주고 bottom-up방식으로 구현하기 위해 for문을 i=2부터 실행해준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 소스코드를 보며 이해하자. 소스코드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M.. 백준 1238번(JAVA) 처음에는 어떻게 풀어야 할지 감이 안잡혔다. 일단 왕복거리를 구한다는 것은 알았다. X번에서 각 마을까지의 최소거리는 X번에서 다익스트라를 실시하면 된다. 그럼 각 마을에서 X번까지의 최소거리를 구하기 위해서 1번에서 N번까지(X번을 뺀) 모두 다익스트라를 실시하면 될까? 그렇다면 다익스트라를 총 N번 실행해야 한다. 딱봐도 시간초과의 느낌이 나지않는가? 그래서 생각해낸 방법은 X에서 2번실행하는것이다. 제일 중요한것이 간선을 입력 받을 때 거꾸로도 입력받는것이다. 예를 들어 a에서 b로 가는 가중치w의 간선이 있다면 b에서 a로 가는 가중치w의 간선도 추가해 주는것이다. 자세한 설명은 아래 글에서 잘 설명 되어있다. 꼭 한번 참고해 보길 바란다.steady-coding.tistory.com/106 [B.. 백준 15686번(JAVA) brute force 문제이다. 시간초과때문에 몇 번이고 다시 풀었던 문제이다. 시간초과를 피하며 구현을 잘하면 된다 이 문제의 핵심은 3가지라고 생각한다. 지도를 입력받으며 치킨집과 가정집의 위치를 미리 선언한 ArrayList에 넣는다. ArrayList를 사용함으로써 지도 전체를 탐색하며 거리를 계산하는게 아니라 ArrayList에서 각각 꺼내와서 거리를 계산한다. 이러면 시간을 훨씬 단축시킬 수 있다. 치킨집 ArrayList에서 M개의 치킨집을 고르는것은 backtrack으로 구현한다. 만약 백트랙하다가 치킨집의개수가 M개가 되면 바로 DFS()함수를 호출해서(이름은 그냥 막 지었다) M개의 치킨집에대한 치킨거리를 구한다. Backtrack을 할때 재귀함수로 호출하는데 호출할때 시작점은 이전에 .. 이전 1 2 다음